[NCHRP] 연구보고서 1066 교통(운송) 자산관리를 위한 리스크평가 기법 출간
[캐나다 정부] 통합리스크관리 가이드
[Victorian Government, 2015] Victorian Government 리스크관리 프레임워크
영국 정부 HM Treasury 오렌지북 개정판 출간
[NASA] RIDM(리스크정보기반 의사결정) 핸드북
[TRB(2023)] 교통(운송)자산관리를 위한 리스크 평가 기술에 관한 NCHRP 연구보고서
[김홍연,조인성,임종권,최성규] 2023년 제1회 리스크전문가초청세미나 사업의 비용 및 일정의 불확실성, 이제 측정하고 관리해야
[미 국립 과학, 공학 및 의학 아카데미 2023]미국 멕시코만의 해양 석유 및 가스 체계적 시스템에 대한 이해 증진에 관한 보고서 브리핑
[논문] Sharma and Goyal (2014) 비용 초과 요인 및 프로젝트 비용 리스크 평가 건설 산업 - 최신 동향 리뷰
[NIST 2023] AI(인공지능) 리스크관리 프레임워크 (AI RMF 1.0)
[Hulett & Safran Risk 2023] 왜 비용 및 일정 (통합) 리스크 분석을 수행해야 하는가?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ters, 2021] 호주 교통 평가 및 계획 지침 - T7 리스크 및 불확실성 평가
[Mechler & The Risk to Resilience Study Team, 2008] 리스크에서 회복력으로 - 비용 편익 분석 방법론
[RIMS] Risk Management Magazine 2023년 3-4월호 발간
Ngo 등(2022) Reliability Analysis and Life Prediction of Aging LNG Unloading Arms....
예측모형 잔차의 다변량 분포 적합을 통한 미세먼지 리스크 관리
박상진 외 (2021)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잠재적 홍수 리스크 분석, 리스크관리연구
한국건설산업연구원(2018) 공공공사비 산정 및 관리 실태와 제도적 개선 방안 연구보고서
[POSRI] 전사적 관점의 리스크 관리의 이해
[e대한경제] 더 팀 (The Team)의 임정주대표 외 2인, 프로젝트성공을 위한 클레임관리- 출간
[발표자료] 임종권(2021.11.19) 건설환경변화에 따른 가치중심적 VE제도 및 정책 개선 방안, 토론주제 발표, 2021 전국VE경진대회 및 콘퍼런스
[발표자료] 임종권,김홍연,정연구(2021.11.19) 프로젝트 가치혁신을 위한 리스크관리기술의 활용방안, 2021 전국VE경진대회 및 콘퍼런스
[리스크 이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814호 - 경기도 공기연장 간접비 해소 방안의 기대와 우려
[SAVE Int.] VM가이드 발간을 위한 VE실무자 설문조사 결과 보고서
[SAVE Int. 국제VE협회] VM Guide 출간 - 리스크를 고려한 VE 개념으로의 패러다임 혁신
[K-Risk 책소개] 위험사회 -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Ulrich Beck(1986) Riskogesellschaft, 홍성태 역
건설산업에서의 비용초과 요인 및 프로젝트 원가 리스크분석평가 - 문헌조사
[COSO/wbcsd, 2018] 전사적리스크관리 - ESG 관련 리스크에 ERM(전사적리스크관리) 적용하기
[고용노동부]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관리체계 가이드북 배포
[WSDOT] 2021 비용리스크견적관리 용어집
[HM Treasury] 리스크관리 지침이 명확히 포함된 영국정부의 Green Book과 Orange Book
[이치저널] 밸류체인과 리스크관리
[Safran] Safran Project-Risk Conference 2021 발표 영상
[ORR] 리스크관리 성숙도 모델
[Kim 등] "원자력발전소 (NPP) 건설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 석탄 및 가스 발전소와의 비교 분석"
[Advisera] ISO 27001/27005의 리스크관리를 위한 단계별 설명 (백서)
[백승원 외] 플랜트, 건축, 토목 공종별 해외건설 리스크평가 비교분석
도로 지리해저드(Geohazard) 리스크 관리 : 새로운 도구 및 e- 러닝
[FTA] 철도 운송 기관을위한 안전 위험 평가 매트릭스 샘플
건설산업에서의 비용 초과 요인 및 프로젝트 비용 리스크 평가 - 최신 동향 조사
Le-Hoai(2008) 베트남 대형 건설 프로젝트의 지연 및 비용 초과 - 다른 국가와의 비교
[발표자료] Vieira (2016) 선형 인프라의 리스크기반 자산관리
[RM Daily 논문] 안찬종 외(2019) BIM 기반 시공단계의 VE 및 리스크 통합워크숍에 관한 연구
[K-Risk 문헌] WSH Council의 DfS (Design for Safety) 설계안전성검토 가이드라인
[K-Risk 문헌] ICCROM (2016) 문화유산의 리스크관리 가이드
[K-Risk 문헌] 말레이시아 건설 프로젝트의 프로젝트 전과정에 따른 시간 및 비용 초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리스크 수준에 관한 전문가 의견
[K-Risk 용어] 신뢰성해석 방법론의 정의
[K-Risk 전문가] Dr. Hulett 왜 비용 일정 (통합) 리스크 분석을 수행해야 하는가
[K-Risk 정보] Useful Risk Links 유용한 리스크 사이트 연결 (협회(전문가)단체)
[K-Risk 문헌] 기술표준원 (2011) 기업의 리스크관리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