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Hintze (2025) 효과적인 리스크 리더의 특성

최근 McKinsey & Co.의 연구에 따르면, 오늘날의 최고리스크책임자(Chief Risk Officer; CRO)는 기술, 금융, 기후, 지정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증가하는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전통적인 재무 리스크관리 범위를 넘어 비재무 리스크까지 포괄하고 있으며, 조직의 탄력성을 강화하는 전략적 리더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효과적인 CRO는 다음과 같은 업무를 한다.


(1) 위험 및 회복력 비전을 설명하고 위험 인식 문화를 옹호한다. 위험과 회복력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조직 전반에 확산시켜 리스크 인식 문화를 조성하며, 가치 기반 ERM(Enterprise Risk Management)을 통해 핵심 리스크에 집중한다.


(2) 차세대 리스크 리더에게 투자하고 역량을 강화한다. 차세대 리스크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배경의 인재를 발굴·배치하고 부서 간 경험을 제공하며, 유망 인재가 경영진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3) 최고 경영진 및 이사회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비즈니스 탄력성 및 리스크 목표를 달성한다. 경영진과 이사회와 긴밀히 협력하여 공통 언어와 표준화된 측정 체계를 통해 리스크를 정량화하고 전략 목표 달성을 지원한다.


(4) 부서 감독자를 파트너로 대한다. - 부서 감독자와 신뢰 기반의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리스크 관리를 제약이 아닌 가치 창출 수단으로 인식시키고, 제안된 변경 사항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5) 조직 전체에 통찰력을 통합하여 미래의 위협을 예측하고 복원력을 강화한다 조직 전반에서 리스크 관련 인사이트를 통합·분석하여 미래 위협을 예측하고 복원력을 강화하며, 집단사고를 방지한다.


(6) 개인의 효율성을 모니터링하고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 CRO 자신도 목표 설정과 우선순위 관리를 통해 개인 효율성을 유지하고, 위기 상황에서 직원들에게 공감과 지원을 제공하는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한다. 이러한 습관은 CRO뿐 아니라 모든 리스크 전문가가 보다 전략적이고 조직에 기여하는 리스크 관리자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대전본사 ( 34175) 대전시 유성구 계룡로 37-18 2층  / 서울지사 ( 05634) 서울시 송파구 가락로 252 501호

K-Risk 한국리스크전문가협의회,  jklim54@daum.net

카카오이미지.png
bottom of page